본문 바로가기

건강/견과류

잣의 건강 효능과 활용법

반응형

잣의 주요 영양소와 효능

잣은 여러 영양소가 풍부한 슈퍼푸드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 E와 K가 풍부하여 항산화 작용과 혈액 응고를 도와줍니다.

또한, 마그네슘, 철분, 아연 등 다양한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어 뼈 건강과 신경 기능을 지원합니다.

단백질 함량도 높아 근육 생성과 유지에 유익하며, 식이 섬유가 소화를 돕습니다.

 

잣 일러스트

잣이 면역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

잣은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유용한 식품입니다.

잣에 포함된 비타민 E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면역 세포를 보호하고 활성화합니다.

아연 역시 면역 기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잣의 불포화 지방산은 염증을 줄여 면역 체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잣의 심혈관 건강 증진 효과

잣은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잣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잣에 함유된 올레산은 '좋은'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나쁜'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심장 질환의 위험을 줄입니다.

또한, 마그네슘과 칼륨은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잣의 피부 건강에 대한 이점

잣은 피부 건강에도 유익합니다.

비타민 E는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여 노화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잣의 지방산은 피부 세포막을 강화하여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잣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은 환경 오염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잣을 일상 식단에 포함시키는 방법

아침 시리얼이나 오트밀에 뿌려 영양을 더할 수 있습니다.

샐러드에 넣어 식감과 풍미를 더하거나, 요거트에 섞어 간편한 간식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잣을 갈아 페스토 소스를 만들어 파스타나 샌드위치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생 잣 100g당  주요 영양성분

에너지 kcal 630
수분 g 3.3
단백질 g 15.96
지방  g 59.28
회분 g 2.11
탄수화물 g 19.38
당류 g 1.33
자당 g 1.17
포도당 g 0.09
과당 g 0.06
유당 g 0
맥아당 g 0.01
갈락토오스 g 0

식이섬유
g 4.1
수용성
식이섬유
g 1
불용성
식이섬유
g 3.1
칼슘 mg 18
mg 6.07
마그네슘 mg 233
mg 470
칼륨 mg 500
나트륨 mg 1
아연 mg 6.56
구리 mg 1.441
망간 mg 14.219
셀레늄 μg 8.22
몰리브덴 μg 9.28
요오드 μg 2.92
비타민 A μg 1
레티놀 μg 0
베타카로틴 μg 10
티아민 mg 0.355
리보플라빈 mg 0.062
니아신 mg 0.979
니아신당량(NE) mg 1.623
니코틴산  mg 0.19
니코틴아미드 mg 0.789
판토텐산 mg 0.237
비타민 B6 mg 0.149
피리독신 mg 0.047
비오틴 μg 0.05
엽산_
엽산당량
μg 41
엽산_
식품 엽산
μg 41
엽산_
합성 엽산
μg 0
비타민 B12 μg 0
비타민 C mg 0
비타민 D μg 0
비타민 D2  μg 0
비타민 D3 μg 0
비타민 E mg 6.62
알파
토코페롤
mg 5.89
베타
토코페롤
mg 0
감마
토코페롤
mg 7.26
델타
토코페롤
mg 0.01
알파
토코트리에놀
mg 0
베타
토코트리에놀
mg 0
감마
토코트리에놀
mg 0.25
델타
토코트리에놀
mg 0
비타민 K μg 14.24
비타민 K1 μg 14.24
비타민 K2 μg 0
총 아미노산 mg 15806
총 필수
아미노산
mg 7383
이소류신 mg 592
류신 mg 1117
라이신 mg 523
메티오닌 mg 67
페닐알라닌 mg 615
트레오닌 mg 489
트립토판 mg 39
발린 mg 758
히스티딘 mg 373
아르기닌 mg 2811
티로신 mg 631
시스테인 mg 105
알라닌 mg 743
아스파르트산 mg 1380
글루탐산 mg 3345
글라이신 mg 752
프롤린 mg 821
세린 mg 647
타우린 mg 0
콜레스테롤 mg 0
총 지방산 g 43.02
총 필수
지방산
g 22.07
총 포화
지방산
g 3.95
부티르산
(4:0)
mg 0
카프로산
(6:0)
mg 0
카프릴산
(8:0)
mg 0
카프르산
(10:0)
mg 6.6
라우르산
(12:0)
mg 0
트라이데칸산
(13:0)
mg 0
미리스트산
(14:0)
mg 9.68
펜타데칸산
(15:0)
mg 1.75
팔미트산
(16:0)
mg 2573.87
헵타데칸산
(17:0)
mg 20.64
스테아르산
(18:0)
mg 1111.23
아라키드산
(20:0)
mg 150.89
헨에이코산산
(21:0)
mg 0
베헨산
(22:0)
mg 50.95
트리코산산
(23:0)
mg 2.91
리그노세르산
(24:0)
mg 17.19
총 불포화
지방산
g 35.1
총 단일
불포화지방산
g 12.68
미리스톨레산
(14:1)
mg 0
팔미톨레산
(16:1)
mg 36.75
헵타데센산
(17:1)
mg 4.45
올레산
(18:1(n-9))
mg 12045.69
박센산
(18:1(n-7))
mg 205.35
가돌레산
(20:1)
mg 391.18
에루크산
(22:1)
mg 0
네르본산
(24:1)
mg 0
총 다가
불포화지방산
g 22.42
리놀레산
(18:2(n-6))
mg 21977.45
알파
리놀렌산
(18:3 (n-3))
mg 86.7
감마
리놀렌산
(18:3 (n-6))
mg 13.06
에이코사
디에노산
(20:2(n-6))
mg 306.9
디호모
리놀렌산
(20:3(n-3))
mg 0
에이코사
트리에노산
(20:3(n-6))
mg 29.18
아라키돈산
(20:4(n-6))
mg 3.94
에이코사
펜타에노산
(20:5(n-3))
mg 0
도코사
디에노산(22:2)
mg 0
도코사
펜타에노산
(22:5(n-3))
mg 0
도코사
헥사에노산
(22:6(n-3))
mg 0
오메가3
지방산
g 0.09
오메가6
지방산
g 22.33
총 트랜스
지방산
g 3.98
트랜스
올레산(18:1(n-9)t)
mg 0
트랜스
리놀레산(18:2t)
mg 1237.02
트랜스
리놀렌산(18:3t)
mg 2738.99
식염상당량 g 0

[출처 : 국가표준식품성분 DB https://koreanfood.rda.go.kr/kfi/fct/fctIntro/list?menuId=PS03562#]

반응형